240213-240218 TIL

2024. 2. 13. 14:06스파르타_부트캠프/TIL

24.02.18(일)

오늘 한일

코딩 테스트 준비

스파르타 강의 평가 프로젝트 

  • github에 SpartaCrawler 프로젝트를 생성하였고 https://github.com/lsi3131/SpartaCrawler/wiki 에 기본적인 소개 페이지를 작성하였다. 
  • 텍스트 감성분석 모듈에 대한 자료조사를 진행하였다.(https://silee-sw.tistory.com/121) 우선 영문의 경우 TextBlob 패키지를 사용하면 면 형태소 분리 및 감성분석 모두 가능하나, 한글의 경우에는 Google Translate API를 사용해야하고 이는 '유료' 서비스라 당장 사용해볼 수 없었다. 한국어 전용 NLP 패키지인 KoNLPy를 조사해보았는데, 형태소 분리까지는 지원하였으나 감성 분석을 위해서는 감성 사전 데이터가 필요한데 한국어 감성 사전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찾지 못했다.
  • 기획 의도는 좋았으나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준비해야할 단계가 너무 많은 듯 하다. 추후 기술적으로 가능성 여부가 판별되면 진행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내일 할일

  • python 알고리즘 인터뷰 문제 풀이
  • 야놀자 클론 코딩 준비
    • 유스케이스 분석
    • 사용 기술 스택 정리
    • 회원 가입, 로그인 페이지 작성
    • 도커를 사용한 스프링 프로젝트 컨테이너화
    • AWS에 서비스 업로드

24.02.16(금)

오늘 한일

코딩 테스트 준비

  • leetcode 332. 일정 재구성 문제 풀이를 진행하였는데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프의 각 노드에 연결된 노드 리스트를 하나씩 pop하면서 해당 노드를 dfs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하며, 해당 노드에 연결된 노드 리스트가 없을 경우에 결과에 해당 노드를 추가한 후 백트래킹을 진행한다.
  • 이 경우 마지막에 방문한 순서대로 노드가 저장되는데, 1->2->3->4 같이 단방향으로만 연결되는 경우에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나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2<-1<->3 처럼 단방향과 양방향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어째서 단방향의 노드가 마지막에 방문되게 되는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상당히 힘들었다. 그래프는 정상적으로 '연결' 되어 있으며, dfs의 마지막에 도달했다는 것은 마지막 여행지에 도달했다는 뜻이므로 마지막 여행지에서 반환되며 리스트에 추가되는 값은 시작점에서 끝나게 되므로, 리스트를 역순으로 하면 시작->마지막 여행지의 순서가 된다.
  • 처음에는 dfs가 시작할 때 진행될 때 각 노드를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법을 적용했는데 2<-1<->3 에서 1->3, 3->1을 들리지 않고 1->2를 먼저 들려서 순서가 잘못된 문제가 있었다. 그래프가 '정상적으로 연결' 되었다면 dfs가 끝났을 때의 노드가 마지막으로 들리는 노드임을 인지하고 블로그에 내용을 정리할 때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도록 해야겠다.   

팀소개 프로젝트

  • 준승님이 팀프로젝트 발표를 진행하였고 서포트해주었다.
  • UI/UX나 발표 준비가 다른 팀에 비해 부족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다음에는 팀원들과 좀더 으쌰으쌰해서 임팩티브한 프로젝트 발표를 해야겠다
  • 팀원들과 앞으로 목표, 스터디 방향에 대해 공유하였다. 월요일에는 각자 목표하는 업종의 어플리케이션을 조사하여 클론 코딩을 진행하여 전체적으로 개발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스프링

  • 3강 내용에서 AppConfig 클래스를 사용한 의존성 주입에 대해 학습하였다. 다른 업무로 인해 많이 진행하지 못했는데 토요일에 많이 진도를 나가야겠다.

내일 할일

코딩 테스트 관련 그래프 문제를 2개 이상 푼다.

스프링 강의 3~5장 청강 후 내용을 정리한다.

Docker 강의 2개 이상 청강한다.

 

24.02.15(목)

오늘 한일

코딩 테스트 준비

팀소개 프로젝트

  • github 이슈에 버그 및 할일 목록을 등록하였다.
  • 멤버별 상세 페이지 이동을 구현하였다. 
  • ajax를 통해 방명록에 댓글 등록 후 화면에 바로 갱신되도록 하였다.
  • 팀소개 프로젝트 시연 영상을 촬영하였다.

내일 할일

팀소개 프로젝트 발표 준비를 한다.

코딩 테스트 관련 그래프 문제를 2개 이상 푼다.

스프링 강의 3~4장 청강 후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다. 

Docker 강의 2개 이상 청강한다.


24.02.14(수)

오늘 한일

ETC

  • google jamboard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진행현황을 공유하였다. 추후 스토리카드 작성 및 역할 분담을 할 때 쓸 수 있을 것 같다.
  • git 특강 청취. git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아는 내용도 있었으나 실무에서 사용한적은 없기 때문에 다들 이렇게 사용하는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코딩 테스트 준비

스프링

  • 인프런 - 스프링 핵심 원리 강의 섹센 1~2를 청강하였다. 스프링의 역사, 구성 / 객체 지향 설계 / 순수 Java의 간단한 예제 등을 학습했다. 
  • EJB라는 끔찍한 녀석을 대체하기 위해 Spring이 탄생한 배경은 흥미로웠다.
  • 객체 지향 설계에서는 다형성을 강조하였는데, 역할(인터페이스), 구현(구현한 객체)로 비유한 것이 인상적이다. 
  • Java로만 이루어진 예제를 작성하였는데 간단한 예제이지만 설계, 구현, 테스트 절차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인텔리제이에 그닥 익숙하지 않았는데 다양한 단축키를 익힐 수 있어서 좋았다. 다음에 섹션 3~4까지 진행하여 스프링 코드까지 학습할 예정이다.

내일 할일

팀소개 프로젝트를 마무리한다. 오전 회의 때 역할 분담을 한다.

코딩 테스트 관련 그래프 문제를 2개 이상 푼다.

스프링 강의 3~4장 청강 후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다.

Docker 강의 2개 이상 청강한다.


24.02.13(화)

오늘 한일

부트 캠프 첫 시작일. 다음 페이지에서 캠프의 일정 및 해야할 일을 확인하였다.

[AI] 6회차 docs

 

그동안 무지성(?)으로 TIL을 작성하였는데 다음 참고 링크를 보고 제대로된 포맷으로 작성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다음 링크를 참조하여 TIL을 작성하기로 하였다.

https://doing7.tistory.com/4

 

1주차는 팀소개를 하는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다음 notion에 내용이 작성되어 있다

https://teamsparta.notion.site/1-300-e87eb2ef92514d0cb67451d8d43d1e2a

 

진행사항

  • 팀원들과 간단히 서로 인사하고 팀장을 뽑고 간단한 개인정보를 작성하였다.
  • 회의를 통해 간략히 팀 규칙, 목표를 정하였다.
  • figma를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와이어프레임을 작성하였다. 동시 접속 및 편집이 가능한 와이어프레임 툴이라 아이디어 교환에 유용했다.
  • 준승님이 생성한 github repository에 flask 웹 어플리케이션 hello world 파일을 업로드 하였다. 
  • 전체 Task를 간략히 산출한 후 역할을 분담하였다. 이 중 메인페이지 프론트엔드의 틀을 작성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 기존에 학습한 "ChatGPT 활용 웹개발 강의"의 예제 코드를 재사용하여 와이어프레임에서 정의한 UI에 따라 코딩을 진행하였다.
  • 팀원들에게 진행사항을 공유한 후 소스코드를 압축하여 공유하였다. github rule이 정해진 후에 코드 리뷰 후 commit & push할 예정이다.

오늘의 학습 키워드

bootstrap

웹 개발 강의에서 Ctrl+C, Ctrl+V 하여 실습했던 bootstrap을 UI를 구현하는 코딩을 진행하여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사용하면서 느낌점은 대략 다음과 같다.

  • <div class="row g-4 mx-auto ..."> 처럼 class 어트리뷰트에 미리 정의된 bootstrap class 정보를 추가하여 UI를 작성한다. md-3, pt-5은 margin down, padding top을 의미하여 약어로 사용된 부분이 많기에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려웠으나 몇번 사용해보니 대략적인 레이아웃 배치를 할 수 있었다.
  • 공식 사이트에서 예제코드가 충분히 제공되며, 막히는 부분은 ChatGPT에게 질문하면 대부분 잘 동작하는 코드를 제공해주니 특별히 문제될 부분은 없을 것 같다.

내일 할일

  • git 특강을 듣고 팀원들과 git 사용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나도 git을 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지 않았고 팀원들도 사용법을 모르는 듯하니 같이 연습과 시행착오를 통해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
  • 코딩 중 이슈가 발생할 경우 팀원들끼리 코드를 모니터링 해야하는데 zep에서는 웹브라우저가 아닌 화면 공유가 안되는 듯하다. zoom을 사용하여 팀원간 이슈가 발생 시 리뷰를 해줄 수 있도록 한다.
  • 9시 전에 코드 Kata를 하나 이상 진행한다.

 

 

'스파르타_부트캠프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226~240303 TIL  (0) 2024.02.26
240219-240225 TIL  (0) 2024.02.18
비슷한 직무 JD 분석  (0) 2024.01.22
스파르타 부트캠프 Daily TIL 제출 로그  (0) 2024.01.18
python 기반 웹개발자 직무 채용공고 분석  (0) 2024.01.11